Network Device
- 네트워크 장치 는 조직 내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과 자원 공유를 중개하는 역할.
- 컴퓨터 네트워킹에 속한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장치(하드웨어).
컴퓨터 네트워킹이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컴퓨팅 장치 를 말하다.
기능
- 다양한 장치 간 데이터 송수신 지원
- 장치들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연결 되도록 해줌
-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제어와 위협 방지
- 네트워크의 범위 확장 및 신호 문제 해결
- 변화하는 비즈니스 요구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
주요 네트워크 장치 및 용도
액세스 포인트 (Access Point)
- Wi-Fi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스마트 폰 및 노트북과 같은 무선 장치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. 다리, 송수신기 역할을 한다.
- 무선 장치들을 물리적 케이블이 없이도 연결할 수 있기때문에, 유연성과 이동성이 향상됨.
- 하나의 네트워크에 여러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면 더 큰 무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. (WLAN)
모뎀 (Modem)
-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위치의 모뎀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치. 반대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도 함.
- 따라서, 변조기 및 복조기(modulator / demodulator)라고도 불리움.
- 이 변환된 신호는 케이블 시스템, 전화선 및 기타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. 모뎀은 또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데 사용됨.
- 모뎀은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SP)의 고객이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된다.
종류
- DSL 모뎀 : 일반 전화선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지만 다른 유형보다 속도가 느림.
- 케이블 모뎀 : TV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DSL보다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.
- 무선 모뎀 : Wi-Fi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며 근처 Wi-Fi 신호를 기반으로 작동.
- 셀룰러 모뎀 : Wi-Fi 또는 고정 케이블 없이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.
방화벽(Firewalls)
- 컴퓨터나 네트워크와 인터넷 간의 데이터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,신뢰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 와 신뢰할 수 없는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장벽 역할.
- 신뢰할 수 없는 접근을 차단하는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만 통과시켜, 내부 네트워크를 해커, 바이러스 및 기타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.
- 특정 유형의 트래픽을 제외하고 모든 트래픽을 허용하는 블랙리스트(거부 목록)를 적용 가능. 보다 제한적인 보안을 위해, 명시된 트래픽 외에는 모두 차단하는 화이트리스트(허용 목록)를 구현 가능.
유형
- 패킷 필터링(Packet Filtering) : 네트워크 계층의 체크포인트 역할을 하며, 데이터 패킷을 IP 주소, 패킷 유형, 포트 번호 또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.
- 상태 기반 검사(Stateful Inspection) :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며, 출발지 IP, 목적지 IP, 출발지 포트, 목적지 포트를 검사하다.
- 차세대 방화벽(Next-Generation Firewall, NGFW) : 기존 방화벽 기능을 넘어 다양한 보안 기능을 통합한 고급 네트워크 보안 장치. 예를 들어, 심층 패킷 검사, 침입 방지 시스템(IPS), 애플리케이션 가시성 및 제어, 고급 위협 탐지 기능이 포함됨.
리피터 (Repeater)
-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약해지거나 손상되기 전에 신호를 증폭(재생성) 하여 동일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더 길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.
디지털 신호는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점차 약해지며, 이 점진적인 신호 약화를 감쇠율(Attenuation Rate)이라고 한다.
- 어떻게 재생성? 신호가 약해질 시, 비트를 하나씩 복사하여 원래 강도의 신호로 재생성.
- 리피터는 오늘날 거의 사용되지 않음. 전원 공급 허브, 스위치, 라우터가 그 역할을 대신함.
- 간혹 원격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.
허브
- 여러 컴퓨터와 장치를 함께 연결하는 장치이며, 데이터 전송의 중심점 역할을 한다.
- 데이터가 연결된 모든 장치로 전송되며, 모든 장치는 언제든 같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. 따라서, 최대 성능을 유지하려면 네트워크에 충분한 용량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.
- 한 장치에만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도 연결된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는 점, 트래픽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기능이 없는 점, 데이터에 필터링 이 되지 않는 점 등 때문에 소규모 조직의 네트워크에 적합하다. 그러나 현재는 스위치로 대체되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.
- 1계층인 물리계층 에서 작동.
출처 : https://www.naukri.com/code360/library/hub-network
종류
- 액티브 허브 : 신호를 깨끗이 하고, 증폭 및 중계한다. 따라서 리피터의 역할(신호 증폭) 도 한다. 외부 전원이 필요하다.
- 패시브 허브: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달하지만 깨끗이 하거나 증폭 하는 기능이 없다. 자체 전원 공급 장치가 있어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
- 지능형 허브: 네트워크 관리, 모니터링, 진단 기능 이 있다.
브리지 (Bridge)
- 허브가 여러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면, 브리지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세그먼트 간 트래픽을 필터링한다.
- 로컬 브리지 는 동일한 물리적 위치나 LAN 내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, 원격 브리지 는 지리적으로 떨어진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한다.
- 허브와 마찬가지로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
-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
출처 : https://myshubhsang.wordpress.com/2016/10/01/networking-devices-ccna-tutorial-11/
네트워크 세분화 (Network Segmentation)
- 네트워크 세분화는 네트워크를 더 작고 독립적인 단위인 여러 세그먼트로 분리하는 방법을 뜻한다.
- 각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적합한 보안 제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게된다.
- 공격자가 네트워크에 침입하게 되도, 하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침입하게 된것이 되어, 공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. 또한 공격 후 복원하는 과정에서도, 보다 효율적으로 가능하다.
- 따라서, 네트워크 세그먼트는 네트워크 세분화 의 과정에서 생성된 네트워크를 더 작고 독립적인 단위로 세분화 한 단위로써, 네트워크 세분화 라고 불리우는 접근 방식에서 파생된 용어라고 볼 수 있다.
종류
- 물리적 세분화 : 라우터, 스위치, 방화벽 등의 하드웨어 장비를 사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뜻한다. 설정 및 유지 관리에 비용이 많이 든다. 더불어,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면서 물리적 네트워크 경계는 거의 사라졌다.
- 논리적 세분화 : 논리적 세분화는 가상 네트워크 세분화 라고 볼수 있다.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나누기 때문이다. 이러한 세그먼트는 서브넷, 가상 근거리통신망(VLAN), 네트워크 주소 체계를 통해서도 생성할 수 있다. 물리적 세분화와 달리 장비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, 비교적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져있다.
스위치 (Switch)
- 네트워크 내의 장치를 연결하고 해당 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주고받는다. 라우터와 달리 스위치는 여러 장치의 네트워크가 아닌 의도된 단일 장치(다른 스위치, 라우터, 사용자 컴퓨터일 수 있음) 로만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데이터 전송 전 오류를 확인할 수 있어, 오류가 있는 패킷은 전달하지 않으며, 올바른 포트로만 선택적으로 전달한다.
-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혹은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. 2계층에서는 대상 MAC 주소를 참조하고, 3계층에서는 IP 를 참조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.
종류
- 비관리형 스위치 (Unmanaged Switches): 단순히 LAN 에 더 많은 포트를 생성하여 더 많은 로컬 장치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. 장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.
-
LAN 은 작은 물리적(지리적) 영역 내에 포함된 네트워크이며, 근거리 통신망 이라고도 불리운다. 대부분 LAN 은 라우터라는 중앙 지점에서 인터넷에 연결된다.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거의 보통 이더넷, Wi-Fi 둘 중 하나 혹은 둘 다 사용한다.
-
- 관리형 스위치 (Managed Switches): 훨씬 더 큰 네트워크에 대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, 네트워크 관리자가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훨씬 더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. 또한 관리자는 가상 LAN(VLAN)을 설정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더 작은 청크로 세분화할 수 있다.
- 스마트 스위치 (Smart Switches): 관리형 스위치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설정 및 관리가 더 간단하다. 중소 규모의 네트워크에 적합하다.
- 계층 2 스위치 (Layer 2 Switches):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동일 네트워크 세그먼트 내 장치 간 데이터를 전달하다.
- PoE 스위치 (PoE Switches): Power over Ethernet 기능을 지원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.
- 기가비트 스위치 (Gigabit Switches): 기존 이더넷보다 빠른 속도의 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다.
- 랙 마운트 스위치 (Rack-Mounted Switches): 서버 랙에 장착하도록 설계되어 데이터 센터나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.
- 데스크톱 스위치 (Desktop Switches): 책상이나 소규모 사무실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소형 스위치입니다.
- 모듈형 스위치 (Modular Switches): 모듈식 디자인으로 쉽게 확장하거나 사용자 정의할 수 있다. 대규모 네트워크 및 데이터 센터에 적합하다.
- 계층 3 스위치 (Layer 3 Switches):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 간 데이터를 라우팅할 수 있다. 더 큰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.
라우터(Router)
-
둘 이상의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 또는 서브 네트워크 들을 연결하는 장치.
패킷 스위칭은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이다. 따라서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.
서브 네트워크(서브넷) 은 네트워크 내부의 네트워크를 뜻하며,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.
- 데이터 패킷을 의도한 IP 주소로 전달하여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관리하고, 여러 장치가 동일한 인터넷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의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.
- 일반적으로 LAN 과 WAN 을 연결한다.
- 스위치와 비슷해 보이지만, 스위치는 네트워크 내부의 장치간의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반면,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달한다.
- 주로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, 4계층인 전송 계층 에서 작동한다.
라우터와 스위치
출처 : https://www.cloudflare.com/ko-kr/learning/network-layer/what-is-a-network-switch/
게이트웨이(Gateway)
-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장치.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.
- 게이트웨이는 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이나 형식에서 다른 프로토콜이나 형식으로 변환하는 번역기 역할을 한다. 이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 간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.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넘나들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.
- 일반적인 게이트웨이 장치의 예로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(LAN)를 광역 네트워크(WAN)나 인터넷에 연결하는 장치가 있다. 주로 5계층인 전송 계층 및 6계층인 세션 계층에서 작동된다.
- 라우터와 그 역할이 비슷하지만, OSI 모델의 계층에서 차이가 있으며,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연결에서 더 유용하다는 의미가 있다.
출처 : https://whatismyipaddress.com/gateway
브라우터(Brouter)
-
브라우터는 브리지 라우터(Bridge Router) 의 줄임말로, 브릿지 와 라우터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이다. 브릿지처럼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, 라우터처럼 IP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한다. OSI 모델의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과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에서 작동한다.
-
하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특화된 라우터와 스위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브라우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.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
-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써, 컴퓨터와 라우터나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. NIC는 유선 또는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.
- 메인보드에 통합된 형태로 제공된다.
- 1계층인 물리 계층과,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. 예를 들어 케이블이나 안테나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더넷 케이블, 광섬유, 또는 Wi-Fi 전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다.
출처
전체
- Network Devices (Hub, Repeater, Bridge, Switch, Router, Gateways and Brouter)
- Common Types of Network Devices and Their Functions
- CloudFlare 학습 센터